“고사 위기 전남대 여수캠퍼스 공업·해양 분야 특성화해야”
  전체메뉴
“고사 위기 전남대 여수캠퍼스 공업·해양 분야 특성화해야”
■광주·전남북 국립대·병원·교육청 국감
연구비 부정사용 등 재발 방지 촉구
교대생 잇단 성범죄 행위도 도마에
전북대 교수 각종 비리·추문 ‘난타’
“고발 사립유치원 무혐의 이해 안돼”
2019년 10월 16일(수) 04:50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경기도 화성시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열린 미래차산업 국가비전 선포식이 끝난 뒤 수소 청소트럭 관련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15일 열린 국회 교육위원회의 광주·전남북·제주권 국립대·병원, 교육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는 최근 이슈가 된 교수들의 각종 비위 행위와 교대생들의 성범죄 행위가 도마에 올랐다. 축소되고 있는 전남대 여수캠퍼스를 활성화 하기 위한 대책 마련 촉구도 이어졌다.

조승래 의원은 “목포대에서 최근 4년간 연구재단 연구비를 부정사용하다가 적발된 게 5건으로 그 금액이 3억원에 이른다”며 “관련된 3명이 해임될 정도의 비위 행위가 발생하는 등 국립대의 연구윤리와 관련한 논란도 많고 반복적으로 벌어지는 것 같다”고 대학들의 재발 방지 대책을 따졌다.

이에 대해 정병석 전남대 총장은 “연구비가 학생들에게 지급되면 곧바로 통지하는 등 집행을 투명화하려고 힘쓰고 있다”며 “사회적 문제들을 알고 있어 경각심이 높아졌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예비 교원을 양성하는 교육대 학생들의 잇단 성범죄에 대한 우려도 나왔다. 박경미 의원은 여학생 ‘몰카’로 퇴학 처분을 받은 광주교대 학생 등 사건에 대해 “예비교원 성인지 교육이 엄격해야 하지만 성 관련 과목 개설이 형식적으로 운영돼 구체적 개선방안이 시급하다”고 주문했다.

이에 최도성 광주교대 총장은 “관련 과목이 개설됐지만 대부분 필수가 아닌 선택 과목으로 유지돼 한계가 있었다”며 “교육과정 안에서 성인지 감수성 제고를 위한 필수 과목을 개설하는 등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교수들의 각종 비리와 추문 문제로 곤욕을 겪은 전북대는 그야말로 ‘난타’를 당했다. 서영교 의원은 “한 교수가 ‘룸살롱에 가면 날 다 알아본다. 거기에 우리 학교 여학생도 많다’는 등 막말을 했다”며 “전북대에 왜 이렇게 일이 많냐”고 교수들의 일탈을 강하게 비판했다.

전남대 광주캠퍼스와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여수캠퍼스를 공업·해양 분야 특성화 대학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전남대는 2005년 여수대와 통합 양해각서를 체결한 뒤, 이듬해 3월 통합했다. 여수대는 전남대 여수캠퍼스로 명칭이 변경돼 전남대의 지역캠퍼스로 운영되고 있다.

이날 임재훈 의원은 “2006년 3월 통합이후 전남대 여수캠퍼스는 특화 학과나 경쟁력 있는 학과가 광주캠퍼스로 이전·통폐합되면서 대학의 역할을 할 수 없는 유명무실한 기관이 됐다”고 질타했다.

여수캠퍼스 입학 정원이 2005년 1479명에서 2018년 897명으로 39.3%, 같은 기간 재학생 수는 4621명에서 3120명으로 33.5% 감소했다. 전공 수도 38개에서 31개로 줄었다는 게 임 의원의 설명이다.

임 의원은 “여수는 국가산단 등이 있어 석유공학, 화학공업 연구 중점대학으로의 육성과 해양·수산 산업, 해양 물류 등 특화 전공을 육성하기에 유리하다”며 “여수캠퍼스를 공과대학으로 특성화하고, 해양 수산·물류 등 특화 전공을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박용진 의원은 “광주시교육청이 감사 거부와 사기 등 26건에 대해 사립유치원을 검찰에 고발했지만, 모두 혐의 없다는 처분 결과가 나왔다”며 “같은 사안(감사 거부)을 경기도교육청이 고발한 내용에 대해 검찰이 벌금형 등을 처분한 것과 광주 검찰은 다른 판단을 했다”고 검찰의 판단을 지적했다.

특히 박 의원은 “한국유치원총연합회 광주지회가 광주시교육청 산하 유아교육진흥원 회의실 대관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며 “국민들을 불안하게 했던 한유총에게 물러나는 모습을 보여줘선 안된다. 유치원의 공공성 강화에 적극적으로 임해달라”고 당부했다.

임재훈 의원은 “광주시교육청이 2016년 청렴도 16위에서 2017년과 지난해 꼴찌를 했다”며 “청렴도 향상을 위해 노력해 달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