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군 “국립파속작물 연구소 설립해달라”
농진청에 연구기능 확대 건의
![]() 김산(왼쪽) 무안군수가 지난 9일 농촌진흥청을 찾아 ‘마늘·양파 연구소’ 설치를 건의했다. <무안군 제공> |
무안군은 최근 농촌진흥청을 방문해 전국 최대 파속(屬) 작물(양파·마늘 등) 주산지인 전남 서남권에 국립 파속 작물 연구기능 확대를 건의했다고 15일 밝혔다.
나주배연구소와 대구 사과연구소, 제주 감귤연구소 등 국가 연구기관은 대부분 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설치됐지만 무안군을 비롯한 전남 서남권은 파속 채소 전국 최대 주산지역(전국 양파 재배면 약 39%)인데도 불구하고 연구기관의 역할이 미약했다.
파속 작물의 연구는 지난 1994년 무안군민 등의 요구에 따라 작물원 목포시험장(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전신)에서 양파 마늘 연구로 시작했다.
이후 2015년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내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연구실을 신설해 소규모로 운영되고 있다.
현재 운영 중인 파속 채소 연구실은 양파, 마늘, 파 품종육성과 재배기술 개발연구를 추진 중이나 규모나 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군은 앙파 마늘 연구소가 설립돼 연구기능이 확대되면 양파 마늘 기후변화에 따른 연작장해와 병해충 방제 연구 등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무안=임동현 기자 idh@
나주배연구소와 대구 사과연구소, 제주 감귤연구소 등 국가 연구기관은 대부분 작물 주산지를 중심으로 설치됐지만 무안군을 비롯한 전남 서남권은 파속 채소 전국 최대 주산지역(전국 양파 재배면 약 39%)인데도 불구하고 연구기관의 역할이 미약했다.
이후 2015년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내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연구실을 신설해 소규모로 운영되고 있다.
현재 운영 중인 파속 채소 연구실은 양파, 마늘, 파 품종육성과 재배기술 개발연구를 추진 중이나 규모나 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군은 앙파 마늘 연구소가 설립돼 연구기능이 확대되면 양파 마늘 기후변화에 따른 연작장해와 병해충 방제 연구 등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