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마지막 점검…오늘 9월 모의평가
가채점 결과 수시 지원 척도
실력 측정 등급컷 확인 기회
학습계획 길잡이 적극 활용을
실력 측정 등급컷 확인 기회
학습계획 길잡이 적극 활용을
올해 11월 14일 치러지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두고 마지막 모의평가가 4일 실시된다. 이번 9월 모의평가는 수능 전 자신의 실력을 점검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다. 수시 모집 입학원서 접수도 시험 직후인 오는 6일부터 진행됨에 따라 가채점 결과로 지원할 대학을 결정할 수 있어 수험생들의 관심이 높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4일 오전 8시 40분부터 전국 2101개 고등학교·교육청과 435개 지정학원에서 모의평가를 실시한다”고 3일 밝혔다. 수능 출제기관인 교육과정평가원은 6월과 9월 두 차례 공식 모의평가를 통해 수험생에게 문항 수준과 유형에 적응할 기회를 주고, 출제·채점과정의 개선점을 찾아 수능에 반영한다.
특히 6월 모의평가와 다르게 9월 모의평가는 출제 범위가 수능과 같고, 현 대학생들도 수능을 다시 보는 이른바 ‘반수생’의 응시가 많다. 이 때문에 자신의 실력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등급 등 자신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시 여겨진다.
4일 치러지는 9월 모의평가에 지원한 수험생은 전국 54만 9224명으로, 재학생은 45만 9217명, 졸업생 등은 9만7명이다.
광주에서는 61개 고등학교와 14개 학원에서 재학생과 졸업생 등 총 1만 9146명이 응시하고, 전남에서도 102개 고등학교와 3개 학원에서 총 1만 4907명이 응시한다.
시험은 오전 8시 40분부터 시작된다. 1교시 국어 영역을 시작으로 2교시 수학 영역, 3교시 영어 영역, 4교시 한국사 영역 및 사회·과학·직업탐구 영역, 5교시 제2외국어·한문 영역 순으로 실제 수능과 똑같이 진행된다. 4교시 탐구영역 문제지 오른편에는 선택한 과목의 문제지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과목명이 색인 형식으로 제공된다. 수험번호 기재란 옆에는 선택과목 응시 순서 기재란도 제공된다. 이는 본 수능 때도 똑같이 제공된다.
답안지 채점 역시 수능과 같은 이미지 스캐너를 사용해 반드시 컴퓨터용 사인펜을 사용해야 하고, 연필·샤프 등을 사용하는 등 흔적이 남은 경우 중복 채점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성적통지표에는 영역·과목별 표준점수와 백분위, 등급, 영역별 응시자 수가 표기되고, 절대평가 과목인 영어와 한국사는 등급과 응시자 수만 기재한다. 필수영역인 한국사에 응시하지 않으면 성적이 무효처리되고, 통지표도 제공되지 않는다.
평가원은 4∼7일 이의신청 기간을 거쳐 17일 정답을 확정 발표한다. 성적은 10월 1일 수험생에게 통보할 예정이다.
진학사 관계자는 “9월 모의평가는 결과가 아닌 과정으로, 성적에 자만하거나 주눅 들기보다 이후 학습계획을 수립하는 길잡이로 삼아야 한다”며 “이번 모의평가를 본 뒤 기대하는 수능 성적을 보다 객관적으로 판단해 수시 모집 지원 전략을 세우는 게 효율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모의평가와 함께 2019학년도 고 1·2학년을 대상으로 치러지는 전국연합학력평가도 동시에 치러진다. 이번 전국연합학력평가에는 광주 55개교 고교 1학년 1만 4135명, 2학년 1만 3882명이 응시하고, 전남은 95개교 고교 1학년 1만 2568명, 2학년 1만 2622명이 응시한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
특히 6월 모의평가와 다르게 9월 모의평가는 출제 범위가 수능과 같고, 현 대학생들도 수능을 다시 보는 이른바 ‘반수생’의 응시가 많다. 이 때문에 자신의 실력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등급 등 자신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시 여겨진다.
광주에서는 61개 고등학교와 14개 학원에서 재학생과 졸업생 등 총 1만 9146명이 응시하고, 전남에서도 102개 고등학교와 3개 학원에서 총 1만 4907명이 응시한다.
시험은 오전 8시 40분부터 시작된다. 1교시 국어 영역을 시작으로 2교시 수학 영역, 3교시 영어 영역, 4교시 한국사 영역 및 사회·과학·직업탐구 영역, 5교시 제2외국어·한문 영역 순으로 실제 수능과 똑같이 진행된다. 4교시 탐구영역 문제지 오른편에는 선택한 과목의 문제지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과목명이 색인 형식으로 제공된다. 수험번호 기재란 옆에는 선택과목 응시 순서 기재란도 제공된다. 이는 본 수능 때도 똑같이 제공된다.
답안지 채점 역시 수능과 같은 이미지 스캐너를 사용해 반드시 컴퓨터용 사인펜을 사용해야 하고, 연필·샤프 등을 사용하는 등 흔적이 남은 경우 중복 채점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성적통지표에는 영역·과목별 표준점수와 백분위, 등급, 영역별 응시자 수가 표기되고, 절대평가 과목인 영어와 한국사는 등급과 응시자 수만 기재한다. 필수영역인 한국사에 응시하지 않으면 성적이 무효처리되고, 통지표도 제공되지 않는다.
평가원은 4∼7일 이의신청 기간을 거쳐 17일 정답을 확정 발표한다. 성적은 10월 1일 수험생에게 통보할 예정이다.
진학사 관계자는 “9월 모의평가는 결과가 아닌 과정으로, 성적에 자만하거나 주눅 들기보다 이후 학습계획을 수립하는 길잡이로 삼아야 한다”며 “이번 모의평가를 본 뒤 기대하는 수능 성적을 보다 객관적으로 판단해 수시 모집 지원 전략을 세우는 게 효율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모의평가와 함께 2019학년도 고 1·2학년을 대상으로 치러지는 전국연합학력평가도 동시에 치러진다. 이번 전국연합학력평가에는 광주 55개교 고교 1학년 1만 4135명, 2학년 1만 3882명이 응시하고, 전남은 95개교 고교 1학년 1만 2568명, 2학년 1만 2622명이 응시한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