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시험문제 유출…깊어지는 교육불신
광주 사립고 동아리 문제 제공
광주시교육청 특별감사 돌입
상위권 내신 몰아주기 의혹도
광주시교육청 특별감사 돌입
상위권 내신 몰아주기 의혹도
광주가 또 고교 시험문제 유출 파문에 휩싸였다.
수학교사가 상위권 학생만을 대상으로 기말고사 시험문제와 유사한 유형의 문제를 사전에 제공한 사실<광주일보 2019년 7월 8일자 6면>이 밝혀지면서 학생과 학부모들이 강한 분노와 함께 박탈감마저 호소하고 있다. 그동안 말로만 떠돌던 일부 고교의 상위권 학생만을 위한 ‘몰아주기식 고교 내신’ 행태가 사실로 드러나고 있어서다.
광주시 교육에 대한 불신도 깊어지고 있다.
지난해 시험지 유출 사건으로 홍역을 치렀던 광주시교육청이 “재발방지에 힘쓰겠다”고 약속한 지 1년도 지나지 않아 사고가 터진데다, 사건 발생 직후 언론사가 취재에 나선 이후에야 뒤늦게 사태파악에 나서는 등 전형적인 ‘뒷북 행정’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8일 광주시교육청 등에 따르면 시교육청은 이날부터 감사실 주관으로 광주시 북구의 한 사립고교에서 3학년 기말고사 수학문제 유출 의혹에 대한 특별감사에 들어갔다. 감사팀은 감사관실 2개팀과 교과 전문가인 교육전문직 등 20명으로 구성됐다.
이 학교는 지난 5일 기말고사에서 수학문제(기하와 벡터, 확률과 통계) 중 객관식 3문제와 서술형 2문제 등 5문제(26점)를 사전에 교내 수학동아리 학생들에게 제공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기말고사 수학문제를 출제한 수학교사는 지난달 모의평가를 앞두고 수학동아리 학생 31명에게 수학문제가 나온 유인물을 나눠줬고, 이 유인물에 포함된 5개 문제가 비슷한 유형으로 기말시험에 출제됐다.
이에 따라 시교육청은 수학동아리에서 풀어본 문제와 실제 시험문제와의 유사성을 살피고 있다.
또 최근 3년 간 시험지와 답안지, 기숙사 학생 명단 등 관련 자료와 함께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다른 교과에 대해서도 비슷한 일이 있었는지 조사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교내 수학동아리가 성적이 뛰어난 기숙사반 상위권 학생이 주축이 돼 활동하고 있고, 공휴일인 주말에도 기숙사에서 동아리 활동이 이뤄졌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조사할 방침이다. 이 학교는 수년 전에도 동아리활동으로 위장해 공휴일 기숙사반 특별수업을 했다가 신고당한 사례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시교육청은 공휴일 수업을 금지하고 있다.
광주 교사노동조합은 이날 “재직 교사가 성적 상위권 학생을 모아 집단과외를 한 사건으로 규정하고, 기숙사생을 대상으로 어떤 과목을 했는지, 수강료는 얼마를 냈는지 교습행위를 자세히 살펴봐야 한다”면서 “성적 상위권 학생에 대한 특별관리 실태를 철저히 조사해야 하며, 시교육청의 감사가 미진하다고 판단되면 이번 사건을 검찰에 고발하겠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시험지 유출 사건 이후 10개월 만에 또 다시 비슷한 사건이 터지면서 시교육청도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장휘국 교육감은 이날 확대간부회의에서 “지난해 악몽을 떠올리는 일이 터져 안타깝고 죄스럽다. 시민들께 얼굴을 들 수 없을 정도로 부끄럽다”며 엄정 조사를 주문했다.
학교 측은 시험문제 유출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수학동아리에 유인물로 제공한 1000여개 문제 중 일부가 변형돼 비슷한 유형으로 출제된 것으로, 특정 학생들을 배려한 게 아니라는 입장이다. 학교 측은 다만 9일 문제가 된 5개 문제에 한해 재시험을 치르기로 했다.
한편 광주에서는 지난해 서구의 한 사립고에서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시험지가 유출돼 연루된 행정실장과 학부모가 실형을 선고 받았다.
/박기웅 기자 pboxer@
수학교사가 상위권 학생만을 대상으로 기말고사 시험문제와 유사한 유형의 문제를 사전에 제공한 사실<광주일보 2019년 7월 8일자 6면>이 밝혀지면서 학생과 학부모들이 강한 분노와 함께 박탈감마저 호소하고 있다. 그동안 말로만 떠돌던 일부 고교의 상위권 학생만을 위한 ‘몰아주기식 고교 내신’ 행태가 사실로 드러나고 있어서다.
지난해 시험지 유출 사건으로 홍역을 치렀던 광주시교육청이 “재발방지에 힘쓰겠다”고 약속한 지 1년도 지나지 않아 사고가 터진데다, 사건 발생 직후 언론사가 취재에 나선 이후에야 뒤늦게 사태파악에 나서는 등 전형적인 ‘뒷북 행정’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8일 광주시교육청 등에 따르면 시교육청은 이날부터 감사실 주관으로 광주시 북구의 한 사립고교에서 3학년 기말고사 수학문제 유출 의혹에 대한 특별감사에 들어갔다. 감사팀은 감사관실 2개팀과 교과 전문가인 교육전문직 등 20명으로 구성됐다.
기말고사 수학문제를 출제한 수학교사는 지난달 모의평가를 앞두고 수학동아리 학생 31명에게 수학문제가 나온 유인물을 나눠줬고, 이 유인물에 포함된 5개 문제가 비슷한 유형으로 기말시험에 출제됐다.
이에 따라 시교육청은 수학동아리에서 풀어본 문제와 실제 시험문제와의 유사성을 살피고 있다.
또 최근 3년 간 시험지와 답안지, 기숙사 학생 명단 등 관련 자료와 함께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다른 교과에 대해서도 비슷한 일이 있었는지 조사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교내 수학동아리가 성적이 뛰어난 기숙사반 상위권 학생이 주축이 돼 활동하고 있고, 공휴일인 주말에도 기숙사에서 동아리 활동이 이뤄졌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조사할 방침이다. 이 학교는 수년 전에도 동아리활동으로 위장해 공휴일 기숙사반 특별수업을 했다가 신고당한 사례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시교육청은 공휴일 수업을 금지하고 있다.
광주 교사노동조합은 이날 “재직 교사가 성적 상위권 학생을 모아 집단과외를 한 사건으로 규정하고, 기숙사생을 대상으로 어떤 과목을 했는지, 수강료는 얼마를 냈는지 교습행위를 자세히 살펴봐야 한다”면서 “성적 상위권 학생에 대한 특별관리 실태를 철저히 조사해야 하며, 시교육청의 감사가 미진하다고 판단되면 이번 사건을 검찰에 고발하겠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시험지 유출 사건 이후 10개월 만에 또 다시 비슷한 사건이 터지면서 시교육청도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장휘국 교육감은 이날 확대간부회의에서 “지난해 악몽을 떠올리는 일이 터져 안타깝고 죄스럽다. 시민들께 얼굴을 들 수 없을 정도로 부끄럽다”며 엄정 조사를 주문했다.
학교 측은 시험문제 유출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수학동아리에 유인물로 제공한 1000여개 문제 중 일부가 변형돼 비슷한 유형으로 출제된 것으로, 특정 학생들을 배려한 게 아니라는 입장이다. 학교 측은 다만 9일 문제가 된 5개 문제에 한해 재시험을 치르기로 했다.
한편 광주에서는 지난해 서구의 한 사립고에서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시험지가 유출돼 연루된 행정실장과 학부모가 실형을 선고 받았다.
/박기웅 기자 pbox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