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9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엄수, ‘오월 광주, 정의로운 대한민국’
![]()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 등 참석자들이 18일 오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고 있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
제39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이 18일 오전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오월 광주, 정의로운 대한민국!’을 주제로 엄수됐다.
기념식에는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 5·18 유공자와 유족, 일반 시민, 학생 등 5000여 명이 참석했다.
문 대통령이 5·18 기념식에 참석한 것은 취임 직후인 2017년 5월 18일 이후 2년 만이다. 지난해에는 이낙연 국무총리가 참석했다.
더불어민주당 이해찬·자유한국당 황교안·바른미래당 손학규·민주평화당 정동영·정의당 이정미 대표 등 여야 5당 대표도 일제히 기념식장을 찾았다.
민주당 이인영·한국당 나경원·바른미래당 오신환·평화당 유성엽·정의당 윤소하 원내대표도 기념식에 자리해 민주화 영령의 넋을 기렸다.
기념식은 내년 40주년을 앞두고 5·18의 의미와 역사적 사실을 모든 국민에게 알리고 민주화의 가치 계승을 통한 ‘정의와 통합’의 메시지를 강조하는 내용으로 구성됐다.
기념식은 오프닝 공연, 국민의례, 경과보고, 기념공연, 기념사, 기념공연,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순으로 1시간 동안 진행됐다.
이번 기념식은 5·18 최후 항쟁지인 옛 전남도청에서 이뤄지는 오프닝 공연을 이원생중계해 역사성과 현장감을 동시에 제공했다.
오프닝 공연은 옛 전남도청 앞에서 5·18 당시 희생된 고등학생 시민군의 일기를 바탕으로 작곡한 밴드 블랙홀의 곡 ‘마지막 일기’로 시작됐다.
이어 5·18에 참여한 학교인 전남대와 조선대 학생 대표 4명, 5·18 희생자 유족 4명이 참석자들과 함께 애국가를 불렀다.
헌화 및 분향은 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하고 묵념이 이어졌다.
기념공연에서는 5월 항쟁 당시 가두방송을 했던 박영순 씨가 직접 나와 5월 당시 상황을 알리고, 5월 27일 최후의 항전에서 총상을 입고 사망한 고(故) 안종필 군의 어머니인 이정님 여사의 사연을 소개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80년 5월 광주가 피 흘리고 죽어갈 때 광주와 함께하지 못한 것이 그 시대를 살았던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정말 미안하다”며 “공권력이 광주에서 자행한 야만적 폭력과 학살에 대해 대통령으로서 국민을 대표해 다시 한번 깊이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내년이면 40주년인 만큼 내년에 참석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 많았지만, 저는 올해 꼭 참석하고 싶었다”며 “광주시민들께 너무나 미안하고, 너무나 부끄러웠고, 국민들께 호소하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때는 목이 메어 한동안 말을 잇지 못했다.
문 대통령과 여야 정치권, 참석자 모두 행사 마지막에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함께 불렀다. 2016년 박근혜 정부 당시 총리 자격으로 기념식에 참석했다가 이 노래를 부르지 않은 황교안 대표도 이날에는 주먹을 쥐고 흔들며 함께 불렀다.
문 대통령은 김정숙 여사와 함께 행사가 끝나고 희생자들의 묘역을 참배했다.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은 1980년 신군부 세력을 거부하고 민주화를 요구하며 일어났던 5·18의 민주·인권·평화의 정신을 계승하고자 1997년 국가 기념일로 제정됐다.
/김용희 기자 kimyh@kwangju.co.kr
기념식에는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 5·18 유공자와 유족, 일반 시민, 학생 등 5000여 명이 참석했다.
문 대통령이 5·18 기념식에 참석한 것은 취임 직후인 2017년 5월 18일 이후 2년 만이다. 지난해에는 이낙연 국무총리가 참석했다.
민주당 이인영·한국당 나경원·바른미래당 오신환·평화당 유성엽·정의당 윤소하 원내대표도 기념식에 자리해 민주화 영령의 넋을 기렸다.
기념식은 내년 40주년을 앞두고 5·18의 의미와 역사적 사실을 모든 국민에게 알리고 민주화의 가치 계승을 통한 ‘정의와 통합’의 메시지를 강조하는 내용으로 구성됐다.
기념식은 오프닝 공연, 국민의례, 경과보고, 기념공연, 기념사, 기념공연,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순으로 1시간 동안 진행됐다.
오프닝 공연은 옛 전남도청 앞에서 5·18 당시 희생된 고등학생 시민군의 일기를 바탕으로 작곡한 밴드 블랙홀의 곡 ‘마지막 일기’로 시작됐다.
이어 5·18에 참여한 학교인 전남대와 조선대 학생 대표 4명, 5·18 희생자 유족 4명이 참석자들과 함께 애국가를 불렀다.
헌화 및 분향은 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하고 묵념이 이어졌다.
기념공연에서는 5월 항쟁 당시 가두방송을 했던 박영순 씨가 직접 나와 5월 당시 상황을 알리고, 5월 27일 최후의 항전에서 총상을 입고 사망한 고(故) 안종필 군의 어머니인 이정님 여사의 사연을 소개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80년 5월 광주가 피 흘리고 죽어갈 때 광주와 함께하지 못한 것이 그 시대를 살았던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정말 미안하다”며 “공권력이 광주에서 자행한 야만적 폭력과 학살에 대해 대통령으로서 국민을 대표해 다시 한번 깊이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내년이면 40주년인 만큼 내년에 참석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 많았지만, 저는 올해 꼭 참석하고 싶었다”며 “광주시민들께 너무나 미안하고, 너무나 부끄러웠고, 국민들께 호소하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때는 목이 메어 한동안 말을 잇지 못했다.
문 대통령과 여야 정치권, 참석자 모두 행사 마지막에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함께 불렀다. 2016년 박근혜 정부 당시 총리 자격으로 기념식에 참석했다가 이 노래를 부르지 않은 황교안 대표도 이날에는 주먹을 쥐고 흔들며 함께 불렀다.
문 대통령은 김정숙 여사와 함께 행사가 끝나고 희생자들의 묘역을 참배했다.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은 1980년 신군부 세력을 거부하고 민주화를 요구하며 일어났던 5·18의 민주·인권·평화의 정신을 계승하고자 1997년 국가 기념일로 제정됐다.
/김용희 기자 kimy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