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산도, 슬로시티 지정 2년 넘도록 펜션 하나 없어
  전체메뉴
청산도, 슬로시티 지정 2년 넘도록 펜션 하나 없어
전남 편 <제2부> 해양·관광
(2) 섬 관광산업 실태
2010년 11월 10일(수) 00:00
전남 서남해안의 섬은 모두 1964개(유인도 276개·무인도 1688개)로 전국의 61.4%다. 전남도는 이들 섬이 갖춘 천혜의 관광자원을 활용, 세계적 휴양·관광지로 조성하는 계획을 추진중이다. 〈광주일보 자료사진〉
‘섬 관광자원화’사업은 전남도의 핵심 현안이다.

천혜의 경관을 갖고 있으면서도 사람 손길이 닿지 않았던 1964개(유인도 276개·무인도 1688개)의 섬을 활용, ‘버려진 땅’을 ‘보물섬’으로 바꾸자는 것으로 지난 2005년부터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반면, 현장에서 느끼는 지역민들의 체감도는 싸늘하기만 하다. 있는 자원조차 관광 상품으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말만 앞세운다며 아우성이다.

전남도 섬 관광산업의 문제는 무엇일까.

◇ 가기 힘들고=비교 우위의 관광자원을 갖추고 있는 것에 비해 교통·숙박 등 이른바 기반시설 즉 ‘하드웨어’는 형편없다. 편의시설이 절대 부족하고 서비스는 관광객들의 눈 높이에 맞추기도 버겁다는 것이다. 우선 취약한 접근성. 뭍과의 직선 거리는 불과 20∼30㎞ 안팎인 섬이 많지만 한 번 가려면 뱃길을 찾기가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민간이 운영하는 탓에‘(여객선이) 밑져서 더 이상 못간다’고 하면 대책이 없다며 행정기관도 손을 놓기 일쑤다. 우수한 관광 여건에도 불구, 교통과 연계되지 못하면서 주민뿐만 아니라 관광객들의 불만이 쌓일 수밖에 없다.

전남이 103개 지구에 연륙·연도교를 건설해 섬과 섬, 섬과 뭍을 연결하겠다는 구상을 세운 것도 접근성 향상에 따른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증도대교(2010년 3월) 개통으로 연간 24만명이 찾던 증도는 전국에서 65만명이 찾는 대표적 관광지로 거듭났고 완도 신지 대교(2005년) 개통으로 이 일대를 찾은 관광객은 15만명에서 90만명으로 늘어났다. 또 백야대교(2004년) 준공으로 3만명 수준인 관광객이 15만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전남도는 파악하고 있다.

하지만 다리 하나 놓는데 수백억 이상 들어가는 상황에서 열악한 지방재정 탓에 ‘찔끔’공사를 할 수 밖에 없다. 39개 지구를 완료하고 18개 공사가 진행중인 것도 그나마 다행이라는 것.

◇ 머무르고 싶지도 않고=숙박난도 심각하다. 청산도의 경우 슬로시티로 지정된 지 2년이 넘도록 단체 관광객들을 위한 고급 펜션 하나 없다. 전남도가 미리 부지를 구입, 투자자에게 제공키로 했지만 개발에 대한 기대감으로 3.3㎡당 2만∼3만원 하던 땅값이 10만원을 부를 정도로 치솟아 이마저 여의치 않다.

전남도가 지금껏 민간투자를 진행했던 17개 테마 섬 가운데 관광객이 머물 숙박시설이 건립된 지역은 손에 꼽는다.

▲자은도(펜션·기업관 등 598억원) ▲도덕도(펜션 및 콘도 1071억) ▲임자도(펜션, 에너지파크 등 441억원) ▲지도(해수온천·펜션·갯벌체험장 등 750억원) ▲낭도(호텔·콘도 등 타임머신 아일랜드 조성 2053억원) ▲백야도(콘도·컨벤션센터·범선이벤트호텔 등 3500억원) ▲신지도(해양리조트 80억원) 등은 첫 삽조차 못 떴다.

열악한 인프라는 우수한 관광 여건에도 불구, 국내외 유망 기업들의 투자를 위축시켜 섬을 ‘버려진 땅’으로 방치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관광산업, 지방에만 맡겨두지 말고 정부 의지 보여야=전남도는 지난 2005년 ‘섬 관광자원 개발사업 계획’을 수립했다. 신안·영광의 ‘다이아몬드제도’, 진도·해남의 ‘조도’, 완도의 ‘보길도’, 여수·고흥의 ‘사도·낭도’ 등 4개 권역 40여 개 섬에 4조5898억원을 투자해 세계적 해양관광 거점으로 개발하겠다는 이른바 ‘갤럭시 아일랜즈’프로젝트다.

예컨대 여수 사도·낭도는 생태의 섬으로, 꽃섬(상·하화도), 역사·문화의 섬(거문도), 등산의 섬(금오도), 낚시의 섬(진지도), 원시체험의 섬(시호도), 가족의 섬(우도), 휴양의 섬(녹도), 사랑의 섬(송이도), 건강의 섬(노화도), 전망의 섬(조도), 음악의 섬(관매도), 원숭이 섬 등 다양한 테마로 섬을 개발하겠는 구상이 담겨있다.

5년이 지난 현재, 사업 진척도는 더디다. 박 지사가 “(계획을) 만들어만 놨는데 보고하는 게 없다”, “하나도 추진하지 않고 있다”고 질책하기도 했다.

열악한 지방재정에 부족한 인프라, 경기 침체로 인한 기업들의 투자 마인드 위축까지 겹치면서 차질을 빚고 있는 게 가장 큰 이유다.

특히 금융감독당국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에 대한 감독·검사 강화는 가뜩이나 힘든 섬 개발의 발목을 잡았다. 자금이 없어 직접 개발하기는 힘들고 국비 지원도 쉽지 않은 상황에서 금융권이 대출 규모를 축소하고 심사를 강화하면서 관광분야의 투자 실현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것이다.

전남도가 최근 이명박 대통령을 비롯, 기획재정부·감사원·문화체육관광부 등에 PF 대출 심사를 강화하더라도, 관광산업의 특수성을 고려해 별도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건의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는 것도 이같은 이유에서다.

연륙·연도교에 대한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단순한 지역 민원 해소용으로 접근하는 방식이 아닌, 해외 관광객들을 끌어들이는 세계적 관광·휴양지 개발 관점에서 접근,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비교우위의 관광 자원 등 잠재적 여건이 충분한 만큼 21세기 신 해양시대 성장 거점으로 부상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 개발과 규제 완화 등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지을기자 dok2000@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