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상향…광주, ‘선언’ 넘어 ‘실행 점검’ 압박 커졌다
건물·수송이 배출 75%…친환경차 전환·그린리모델링 확산이 성패 가른다
2025년 11월 12일(수) 14:45
이명노 광주시의원.
정부가 2035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을 2018년 대비 61% 감축하는 상향 목표를 의결하면서, 2045 탄소중립을 선언한 광주가 실천 성과를 점검·보강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명노(서구 3선거구) 시의원은 12일 행정사무감사에서는 “건물과 수송 부문이 시 배출의 75%를 차지하는 구조적 현실을 직시하고, 감축 수단을 생활·산업 전반으로 확장해야한다”고 주문했다.

광주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인증은 74건, 그린리모델링 비율은 약 2%에 머물러 전국 최하위권 수준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공공건축물부터 단계적 에너지 효율화를 의무화하고, 기후에너지진흥원처럼 기존 건물의 제로에너지화 사례를 전 기관으로 확산해 공공 조달·시공 시장에 ‘녹색 일자리’와 지역 수익 구조를 만들자는 제안이 제기됐다.

단순 비용이 아니라 지역경제 전환의 투자로 접근해야 한다는 취지다.

광주 등록 차량 가운데 친환경차 비율은 약 10% 수준으로 파악됐다. 상향된 국가 목표 궤도에 오르려면 향후 10년간 신차의 70%를 친환경차로 전환하는 공격적 보급 로드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보급뿐 아니라 충전 인프라와 차량·주차 규제, 수요관리형 대중교통 연계 등 ‘사용 단계’의 감축 효과를 실측하고, 시민 참여형 인센티브를 연동해야 한다는 요구도 함께 제시됐다.

기후환경국은 “광주는 국가보다 앞서 2045 탄소중립을 목표로 2035년까지 58% 감축 계획을 확정했고, 연도별 시행계획에 따라 이행 중”이라고 답했다.

이에 대해 이 의원은 “계획의 존재만으로는 부족하다며, 부문별 감축량·예산·일정이 담긴 실행 성적표를 공개하고, 행정 내부 절감과 민간 유도 정책을 병행하라”고 압박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762926300791854373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13일 01:1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