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RF 악취 보고서 있었는데…광주시는 몰랐다
  전체메뉴
SRF 악취 보고서 있었는데…광주시는 몰랐다
약액세정 한계·시설 결함 지적 불구 민원 12배↑…행정 신뢰 도마
2025년 11월 12일(수) 16:55
광주시 남구 양과동 SRF(고형연료) 시설 악취 사태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민간이 발주해 완료한 ‘악취 제거 컨설팅’ 용역보고서가 있음에도 광주시가 존재조차 파악하지 못한 사실이 드러났다.

보고서는 약액세정 방식의 성능 한계와 구조적 결함을 지적했지만, 시는 별도의 용역이 “진행 중”이라며 대응해 왔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더불어민주당 박미정(동구 2선거구)시의원은 12일 행정사무감사에서 “지난 5월 최종 완료된 태성환경연구소 보고서는 풍량 부족, 충진물 오염, VOC(휘발성유기화합물) 처리 한계를 SRF 악취의 주된 원인으로 진단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서는 폐기물저장조 탈취팬은 설계 대비 40%, 건조배가스 탈취팬은 74% 수준에 그쳐 악취 확산 위험이 높다고 분석했다. 약액세정으로는 비수용성 물질 제거가 어려워 근본 해결이 불가능하다는 결론도 명시됐다.

행정 불신 논란은 보고서 파악 부재에서 증폭됐다. 시는 악취 관련 용역이 진행 중이라고만 밝혔지만, 해당 보고서는 포스코와이드가 발주해 이미 완성된 상태였다.

의원들은 “빛고을청정이나 포스코 측으로부터 핵심 정보를 놓친 것 아니냐”고 따져 물으며, 발주 경위와 내용, 행정의 인지·활용 과정 전반을 즉시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기술적 처방의 실패도 도마에 올랐다.

시는 지난해 백색 연기 민원으로 소각식 탈취로를 철거하고 약액세정 방식으로 전환했지만, 이후 악취 민원은 12배로 급증했고 복합악취 농도는 법정 기준의 6배를 기록했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소각식 복귀를 추진 중인 만큼 동일한 오류가 반복되지 않도록 기술 검증과 주민 소통, 공정한 외부 검증 절차를 병행하라는 주문이 나왔다.

박 의원은 “정부·민간·운영사 자료를 종합해 객관적 원인과 실효 대책을 제시하고, 단계별 감축 목표와 일정, 책임 주체를 명확히 해야 행정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며 “주민과 공유하는 상시 모니터링 체계로 악취 저감 성과를 데이터로 검증하라”고 촉구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