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 실개천, ‘협의 없는 추진’ 도마…상징 공간에 공론화 없이 예산부터
총 30억 규모 도심 수변사업, 부지 주체 ACC와 공식 협의 미비…설문 신뢰·수원 안정성도 의문
![]() |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회화나무 작은 숲 공원 주변 실개천 조성사업이 오월단체·시민사회·ACC와의 사전 협의나 충분한 의견수렴 없이 추진됐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정다은(북구 2선거구)시의원은 12일 행정감사에서 5·18민주광장과 ACC를 잇는 상징 축을 다루는 사업인 만큼 공론화 없이 예산부터 편성하는 ‘선(先)행정’이 갈등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실개천 조성은 ACC 회화나무 작은 숲 일대에 도심 수변공간을 만드는 사업으로 총사업비 30억 원(국비·시비 각 15억 원) 규모다. 올해 6월부터 1년 간 설계용역이 진행 중이지만, 대상지가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인 ACC 부지임에도 ACC와의 공식 협의 없이 발주된 사실이 확인됐다.
오월단체와 광주환경운동연합 등은 실개천으로 회화나무 작은 숲과 복제나무(후계목)가 훼손되고, 공간의 5·18 상징성이 약화될 수 있다며 절차적 정당성과 내용상의 보완을 동시에 요구하고 있다.
여론 수렴의 한계도 도마에 올랐다.
광주시는 9월 온라인 플랫폼 ‘광주온(ON)’ 설문을 실시했으나, 실개천 조성을 전제로 문항을 구성했고 회화나무 작은 숲을 방문한 적이 없는 응답자(44.2%)를 포함해 결과를 해석해 정책 근거로 삼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설계 개념에 포함된 ‘ACC문화전당역 유출지하수 활용’ 역시 유량 감소나 고갈 시 유지가 어려운 만큼 대체 수원과 수질관리 대책을 사전에 확정해야 한다는 보완 요구가 뒤따랐다.
예산 처리의 속도전도 논란거리다. 시는 2025년 본예산에 시비 1억1500만 원을 반영했고, 11월 19일 제3회 추경에서 국비 1억3100만 원 추가 확보를 요청할 계획이다.
그러나 ACC 부지 협의와 단체 간 공감대 형성이 충분치 않은 상황에서 예산이 선집행되는 것은 절차상 성급하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사업비 구조상 국·시비 매칭이 이뤄질 경우 착수 이후 설계 변경이나 사업 범위 조정이 발생하면 추가 갈등과 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정다은 시의원은 “실개천은 단순한 친환경 미화가 아니라 5·18민주광장과 ACC를 잇는 상징 공간 재편 사업”이라며 “시민의 신뢰와 참여 없이 추진되는 일방적 행정은 공감보다 반발을 부를 수 있는 만큼, 충분한 의견수렴과 투명한 공론화로 ‘시민이 함께 만드는 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더불어민주당 정다은(북구 2선거구)시의원은 12일 행정감사에서 5·18민주광장과 ACC를 잇는 상징 축을 다루는 사업인 만큼 공론화 없이 예산부터 편성하는 ‘선(先)행정’이 갈등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오월단체와 광주환경운동연합 등은 실개천으로 회화나무 작은 숲과 복제나무(후계목)가 훼손되고, 공간의 5·18 상징성이 약화될 수 있다며 절차적 정당성과 내용상의 보완을 동시에 요구하고 있다.
광주시는 9월 온라인 플랫폼 ‘광주온(ON)’ 설문을 실시했으나, 실개천 조성을 전제로 문항을 구성했고 회화나무 작은 숲을 방문한 적이 없는 응답자(44.2%)를 포함해 결과를 해석해 정책 근거로 삼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설계 개념에 포함된 ‘ACC문화전당역 유출지하수 활용’ 역시 유량 감소나 고갈 시 유지가 어려운 만큼 대체 수원과 수질관리 대책을 사전에 확정해야 한다는 보완 요구가 뒤따랐다.
예산 처리의 속도전도 논란거리다. 시는 2025년 본예산에 시비 1억1500만 원을 반영했고, 11월 19일 제3회 추경에서 국비 1억3100만 원 추가 확보를 요청할 계획이다.
그러나 ACC 부지 협의와 단체 간 공감대 형성이 충분치 않은 상황에서 예산이 선집행되는 것은 절차상 성급하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사업비 구조상 국·시비 매칭이 이뤄질 경우 착수 이후 설계 변경이나 사업 범위 조정이 발생하면 추가 갈등과 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정다은 시의원은 “실개천은 단순한 친환경 미화가 아니라 5·18민주광장과 ACC를 잇는 상징 공간 재편 사업”이라며 “시민의 신뢰와 참여 없이 추진되는 일방적 행정은 공감보다 반발을 부를 수 있는 만큼, 충분한 의견수렴과 투명한 공론화로 ‘시민이 함께 만드는 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